경제 공부 노트4 ROE란? 기업이 돈 버는 속도를 아는 방법 / 애플, 코카콜라, 테슬라 ROE 살펴보기 내가 사려는 주식이 싼지 비싼지 아는 방법? PER이란(PER 뜻과 계산법, 해석하는 방법) 내가 사려는 주식이 싼 지 비싼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? 물론 여러가지를 살펴야 하겠지만, 대표적으로 그 기업의 PER 수치를 볼 수 있다. 1000원짜리 주식 A와 5000원짜리 주식 B가 있다고 해보� doyouknowmoney.tistory.com PBR이란 (PER 의미, 해석) : 내가 살 주식이 적정 가격인지 판단하는 방법2 내가 지금 사는 기업, 혹은 시장의 주식이 싼지 비싼지 아는 방법? 대표적으로 PER과 PBR을 생각할 수 있다. PER에 대한 정리는 아래 링크에 해놓았고 https://doyouknowmoney.tistory.com/9 이번에는 PBR을 공�� doyouknowmoney.ti.. 2020. 9. 22. PBR이란 (PER 의미, 해석) : 내가 살 주식이 적정 가격인지 판단하는 방법2 내가 지금 사는 기업, 혹은 시장의 주식이 싼지 비싼지 아는 방법? 대표적으로 PER과 PBR을 생각할 수 있다. PER에 대한 정리는 아래 링크에 해놓았고 https://doyouknowmoney.tistory.com/9 이번에는 PBR을 공부해본다. PBR이란? 한국말로는 주가순자산비율이다. 이 회사의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높게 혹은 낮게 평가되어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다. 여기서 순자산(장부가격)이라고 하면 회사의 총자본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. 1주당 순자산가치는(주당 장부가격)은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누면 된다. 그게 바로 BPS(Book Value per Share)다. PBR은 주가를 이 주당순자산가치(BPS)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. 비자카드의 PBR을 예로 들어보자... 2020. 9. 3. 내가 사려는 주식이 싼지 비싼지 아는 방법? PER이란(PER 뜻과 계산법, 해석하는 방법) 내가 사려는 주식이 싼 지 비싼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? 물론 여러가지를 살펴야 하겠지만, 대표적으로 그 기업의 PER 수치를 볼 수 있다. 1000원짜리 주식 A와 5000원짜리 주식 B가 있다고 해보자. 가격만 놓고 보면 당연히 B가 비싸다. 하지만 주식은 단순 주가가 아닌, 그 회사가 얼마나 이익을 내느냐 하는 잠재력을 봐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B가 비싸다고 할 수는 없다. B가 돈버는 속도가 A보다 훨씬 빠르면 A보다 B에 투자하는 게 큰 수익을 낼 수 있다. 아래 PER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다. PER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(EPS)으로 나눈 값이다.(주당순이익은 당기 순이익을 발행 주식 총수로 나눈 값) 이렇게 계산하면 현재 주가가 얼마나 과대평가, 혹은 과소평가됐는지 알 수 있다. 아래.. 2020. 8. 28. 퇴직연금/퇴직금, 확정급여형(DB형)과 확정기여형(DC형) 그리고 개인형 퇴직연금(IRP)가 뭐야? 돈에 무지했던 입사 초반, 회사에서 퇴직연금 유형을 선택하라고 했을 때 별 고민 없이 내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확정급여형(DB형)을 선택했었다. 그런데 주식 투자를 하다 보니 원금 보장이 된다는 이유로 퇴직금을 수 년 간 묵혀두기가 아깝기도 했다. 그래서 내가 직접 퇴직금을 투자하고 운용할 수 있는 확정기여형(DC)에 대해서도 좀 공부해보려고 한다. 그래서 아래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. |퇴직연금 제도란? 퇴직금 계산법? 퇴직연금제도는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퇴직금(퇴직급여)을 금융회사에 맡기고 운용해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 혹은 연금으로 지급하는 제도. 혹시 회사가 망하더라도 직원들의 퇴직금은 안정적으로 주기 위해 금융기관에 맡기는 것이다. 이를 위해 회사는 매년 퇴직연.. 2020. 7. 30. 이전 1 다음